누룩 이용 고소애 단백질 추출 공정 개발 단백질 늘고 지질 줄어…다양한 식품 가공제품 활용 기대 국산 발효제인 누룩을 이용해 고소애(갈색거저리 애벌레) 단백질 추출 기술을 개발했다.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누룩은 전통주를 빚…
"미세플라스틱 걱정 없어요"…생분해 되는 세안용 마이크로비즈 나왔다 게 껍질 추출 천연물질로 미세 플라스틱 소재 대체 세정력도 1.2배 뛰어나 클렌징폼 같은 세안제의 세정력을 높이기 위해 첨가했던 작은 알갱이인 '…
내년 곤충산업화 지원 5개소 50억원 등 지원 농림축산식품부(장관 김현수, 이하 ‘농식품부’)는 2022년 곤충산업육성을 위한 곤충산업화지원사업 5개소, 곤충유통사업지원사업2개소를 사업대상자로 최종 선정했다고 밝혔다. 곤충산업화지원사…
단백질·불포화지방산 풍부…‘풀무치’ 식용곤충 인정 단백질과 불포화지방산이 풍부한 풀무치가 식용곤충으로 인정을 받았다. 농촌진흥청과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 13일, 풀무치를 새로운 식품원료로 인정했다. 새로운 식품원료 인정은 국내…
“누에고치, 뼈 건강 지키는 ‘효과’ 입증” ▲ 골 손실부위의 물질 처리 후 MicroCT 분석. 농촌진흥청(청장 허태웅)은 강릉원주대학교 치과대학과 함께 누에고치에서 추출한 실크 세리신이 뼈 재생에 도움을 주는 것을 …
식용곤충 “흰점박이꽃무지” 표준 유전체 해독 유전자 2만 3,551개 통해 생리활성 펩타이드 31개 발굴 흰점박이꽃무지는 예부터 굼벵이로 불리며, 민간에서는 간에서 비롯되는 질병과 악성 종기, 중풍 등에 효과가 …
해외 스타들을 힘들게 했던, 진드기가 옮기는 보렐리아균 원인 ‘라임병’ 지난 4월 미국여자프로골프(LPGA) 투어에서 활약하던 산드라 갈 선수가 건강 문제로 투어 활동을 중단한다고 밝혔다. 다름 아닌 ‘라임병’을 앓아 고통을 받아왔으며 이 …
전주농생명연구원 "쌍별귀뚜라미 발효 추출물이 노화 예방" 쌍별귀뚜라미 발효 추출물이 노화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학계 관심을 끌고 있다. 전주농생명소재연구원(이하 연구원)은 아열대성 곤충인 쌍별귀뚜라미 발효 추출…
전남농기원, 누디바이러스병 최초 발견 치료제 개발 박차 전남도농업기술원(원장 박홍재)은 유용곤충인 장수풍뎅이에 주로 발생해 큰 피해를 주는 누디바이러스병이 최근 넓적 사슴벌레에서도 발생하는 것을 최초로 발견하고 치료제 개발에 나섰다. …
암투병 이대생의 집념, 13개국 수출하는 한국 식품의 정체 스마트팜으로 동충하초 재배, 국책연구원 제휴까지 해서 개발 기업가 정신으로 무장한 사람들이 창업에 뛰어들며 한국 경제에 새바람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스타트업 성장을 돕기 위해 …
잔디밭 다녀온 후 고열… '이 곤충'이 원인 기온이 30도를 웃도는 여름철에는 미생물이 번식하기 쉬워 각종 감염병이 유행한다. 국내에서 주의해야 하는 여름철 감염병은 다음과 같다.◇진드기 매개 감염병진드기 매개 감염병은 뚜렷한 치료약이 없다…
굼벵이, 00에 좋다 '카더라' 과학으로 증명한다 HMO건강드림, 자연유래 단백질에 집중···3여년간 임상연구 진행식품규격·기준서 없던 황무지···"외부 도움 없이 10년간 고군분투"손진성 대표 "농촌살리기 목표···태안 곤충클러스터로 일자…
'미래 고부가가치 신성장 산업'…킨텍스서 곤충산업박람회 12월 개최 경기 고양시 국내 최대 규모 전시컨벤션센터인 킨텍스는 한국사료곤충협회와 공동 주관하는 '2021 한국유용곤충산업박람회'를 12월1~4일 개최한다고…
지엘비텍, “동애등에 산업의 경쟁력 확보 위해 고도화 된 기술력으로 ‘교미유도조명’ 생산” LED특수광원개발 전문 기업 지엘비텍(GLBtech, 대표 최영식)이 동애등에 교미유도조명 ‘메이트맥스(MateMax)’를 국내외 메이저 기업들이 신…
'곤충 바이오디젤'로 CO₂ 잡는 석유관리원 곤충 지질 활용 '바이오디젤' 생산 기술 개발 2단계 착수2050 탄소중립 실현 위한 바이오디젤 보급 확대 기여한국석유관리원(이사장 손주석)은 곤충자원(동애등에)을 활용한 바이오디젤 생산 기술을…